전기차/배터리 섹터 주가 조정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주가 조정의 원인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을 것 같다.
1. 금리 인상에 따른 기술주/성장주 매력도 하락
2. 유럽 시장 전기차 판매 성장률 둔화
3. 배터리 화재 충당금 이슈
1. 금리 인상에 따른 기술주/성장주 매력도 하락
Macro 경제적인 관점에서 이미 언급한 바 있다.(hba45.tistory.com/3)
금리 인상에 따라 성장주의 매력이 다소 떨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2. 유럽 시장 전기차 판매 성장률 둔화
코로나 재봉쇄로 인한 전체 자동차 판매가 부진 원인이다. 하지만 전기차 판매 침투율 YoY는 여전히 견고한 수준이고, 코로나는 짧은 시일 내로 다시 완화될 것이기 때문에 큰 risk는 아닌 것으로 파악된다.
3. 배터리 화재 충당금 이슈
현대차 코나 화재 및 리콜에 따른 충당금이 반영되고 있다. 단기 불확실성은 어느정도 해소가 되었지만 시장 참여자들이 화재 이슈로 인한 손실이 앞으로도 일어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면서 하방 압력을 주고 있다.
이는 배터리 기술 자체에 대한 의심이며 이러한 이슈들이 발생하면 업체들의 영업이익에 크게 피해를 끼치는 사안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지켜봐야 한다.
지금과 같이 멀티플이 하락하는 구간에서 실적마저 안좋아버리면 상당한 하락이 있을 수 있어 실적을 자세히 봐야 한다.
1. 전기차 판매량/침투율
2. 배터리 발주량
- 올해까지는 대규모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업체가 몇 개 없지만, 내후년부터는 후발주자들의 참여도 고려해야 할 것.
3. 소재 업체 수출 데이터 - 특히 공급업체가 적은 소재. (ex. 동박, 분리막, 양극재)
단기 변동성도 유의깊게 확인하되, 결과적으로는 실적을 따라 가기 때문에 실적도 꾸준히 체크해야 한다.
'이전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배터리 : LG화학(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삼성SDI (0) | 2021.03.23 |
---|---|
210322. 제레미 그랜섬의 시각 : 마지막 버블 (0) | 2021.03.22 |
210320. 하워드 막스의 메모 (0) | 2021.03.20 |
탄소 중립 : 친환경 에너지 (0) | 2021.03.19 |
210318. FOMC, 금리, 투자 (0) | 2021.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