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0)
증시조정과 헷지, 투자의 원칙 지금과 같은 주가 상승의 랠리들을 경험해본 결과, 결국에는 어떤 벽에 부딪혀 상당히 고통스러운 조정이 올 것이다. (eventually they hit a wall and go into major painful correction.) 그리고 이 시기에 대해서는 아무도 예상할 수 없다. 하지만 이러한 일이 일어나게 된다면 조심해라. ​ 또 다른 공통점은 이번에는 다르다라는 말이 자주 나온다고 한다. (its always said, it's different this time.)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모두 큰 조정을 겪었다. ​ 칼 아이칸은 이를 대비하게 위해 헷지를 잘 해야 한다고 한다. ​ 이런 우려들이 많이 나오는 이유 중 하나는 PE ratio(수익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비싼가)가 2000년대 닷컴버블..
210313. 미국채 10년물 금리와 국내 부동산 미국 모기지 Mortage에 붙어있는 mort-는 죽음이라는 의미로, 죽을 때까지 갚는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즉, LTV를 따지지 않고 DTR, DSR을 따진다. 주택보고 돈을 빌려주는게아니라 소득 수준을 보고 돈을 빌려주는 개념이다. 모기지 금리는 장기국채 금리와 연동된다. 즉, 미국 부동산은 10년물 금리가 떨어지면 부동산이 호황이고, 반대로 10년물 금리가 오르면 부동산이 좀 떨어진다. 그렇기에 미국은 부동산과 주식과 같은 자산시장이 장기금리와 연동되어 있다. 한국 주택담보대출 반면 한국의 주택담보대출은 개인의 소득 수준도 보긴 보지만 기본적으로 주택을 보고 돈을 빌려주고 있다. 그렇기에 LTV 한도가 중요하고, 미국과 달리 대출을 죽을떄까지 갚는 게 아닌, 집을 팔때 갚고 다시 새로운 집으로..
국채 가격과 금리의 관계 국채 가격과 금리의 관계 먼저 예금과 채권의 차이를 알아보아야 한다.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예금은 현재 가진 돈을 저금을 하고, 은행이 이 돈을 굴려 수익 창출을 해 수익의 일부를 주는 개념. 채권은 발행주체(정부,기업 등)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차용증. 채권은 차용증이기 때문에 거래가 가능하고, 이 채권을 산 순간 해당 채권에 대해서는 기간과 금리가 정해지게 된다. 그렇다면 금리 변화에 따라 채권 가격이 왜 변동하는 것일까 아래 예시를 보자. a. 1년물 금리 8% -> 1년 후 원금 1000만원 + 이자 80만원 = 1080만원 b. 1년물 금리 20% -> 1년후 원금 1000만원 + 이자 200만원 = 1200만원 금리 8%의 a라는 채권을 발행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금리 20%의 ..
분산형 전력망 - 21세기의 록펠러는 누구일까? 에너지 변화라는 큰 트렌드를 볼 필요가 있다. 과거 석탄 -> 석유로 전환하면서 주력산업이 방직산업에서 자동차를 근간으로 하는 산업으로 변화하게 된다. 석탄 시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철도였다. 석유 시대에서는 자동차가 다니는 고속도로가 중요했다. 이후 3차 정보통신혁명이 일어나면서 에너지 자체는 석유+가스, 디바이스는 자동차 -> PC로 가면서 인터넷 기반 산업들이 출현하게 된다. ​ 현재 4차 산업혁명에서는?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은 자율주행이다. 왜 자율주행인가 ? ​ 인터넷 포탈 기업관점에서 사람이 인터넷을 할 수 없는 환경은 3가지가 있다. 1. 운전 중, 2. 수면 중, 3. 오지 ​ 이 때 운전 중, 즉 차에 있는 시간에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한다면 이 기업들 관점에서는 수익창출의 기회..
210311. 매크로경제 시황 : 금리, 달러, 유가 금리 상승을 시장이 어떻게 반영하는가 ? 3~4월 실적시즌 시작. 현재 주가가 변동성을 보이고 있는 상황임. 금리 상승을 시장이 어떻게 반영하느냐를 파악해야 한다. - 나스닥의 경우 지수 자체는 -3~+3%를 왔다갔다 하고,, - 대표적인 성장주인 테슬라는 고점대비 약 30%가 빠지더니 하루만에 20%가 오르는 등.. 저세상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금리의 상승분을 고려했을 때 주가의 조정은 적절했는가? 미국채 10년물이 1.5정도로 S&P 배당률과 비슷하게 올라왔다. 금리가 올라오면서 시장의 벨류에이션이 타격을 입고 있는 상황. 벨류에이션이 저평가로 매력적이었다면 금리가 올라왔어도 주가 조정이 있지 않았을 것임. 하지만 지금은 거품을 주장하는 사람들도 많은 만큼 어느정도 고벨류에이션임을 감안해야 한다. ..
물가연동채 물가연동채란? 말 그대로 가격이 물가에 연동되는 채권을 말한다. 즉,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으로 사용되며 지금과 같이 인플레이션이 올 것이라 예상되는 시기에 포트폴리오에 편입하기 좋다. 또 다른 플레이션 헷지 수단으로는 금, 원자재 등이 있고 실제로 나의 포트폴리오에 금이 포함되어 있지만 죽쑤고 있는 중이다 .. -> 금은 현재 금리 상승, 비트코인이라는 대체 투자처의 등장 등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 -> 구리와 같은 원자재 투자처도 있지만,, 중국 중개업체의 사재기 등 수급 이슈가 있다. 물가 연동채를 가장 쉽게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은 미국 ETF 상품을 구매하는 것이다. TIP, LTPZ, SCHP, VTIP, STIP 등 채권 만기에 따라 다양한 상품이 있고, 기본적으로 채권이기에 만기가 길수록 변..